앙리 에밀-베노아 마티스(Heinri Émile-Benoit Matisse, 1869년 12월 31일 - 1954년 11월 3일)는 20세기 표현주의 프랑스 화가이다.
파블로 피카소와 함께 '20세기 최대의 화가'로 일컬어진다. 프랑스 북부 노르파드칼레의 르샤토캄프레시스에서 태어났다. 22세 때 파리로 나가 그림 공부를 하고, 1893년 파리 국립 미술 학교에 들어가 구스타프 모로에게서 배웠다. 이 무렵 세잔·고흐·고갱에게 끌려 그들의 채색 방법에 강한 공감을 느꼈다. 1904년 무렵에 전부터 친분이 있는 피카소·드랭·블라맹크 등과 함께 20세기 회화의 제일보로 불리는 야수파 운동에 참가하여, 그 중심 인물로서 활약하였다. 1910년경부터 피카소 등의 입체파의 영향을 받아 엄격한 구성과 단순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독자적 화풍을 전개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주로 니스에 머무르면서, 모로코·타히티 섬을 여행하였다. 만년에는 색도 형체도 단순화 되었으며, 밝고 순수한 빛의 광휘와 청순 명쾌한 선에 의하여 훌륭하게 구성된 평면적인 화면은 '세기의 경이'라고까지 평가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착수하여 1951년에 완성한 반(Vannes) 예배당의 장식은 세계 화단의 새로운 기념물이다. 그는 조각·동판화에도 능하였고, 직물의 디자인, 삽화 등 새로운 분야도 개척하였다. 대표작으로 <춤> <젊은 선원>이 있다.
앙리 마티스의 <호사, 평온, 그리고 관능>은 오르세 미술관에서 가장 근대적인 작품이다. 그것은 제작 시기가 아니라, 양식의 혁신성에 관한 것이다. 작품 안에는 20세기 전반기의 예술적 경향을 특징짓는 아방가르드 예술의 분위기가 살아 숨 쉬고 있다. 마티스는 마네에서 퓌비 드 샤반에 이르기까지 19세기 화가들이 즐겨 그렸던 해안 풍경을 주제로 선택하여, 그것을 한 차원 더 근대적인 양식으로 표현해냈다.
이 작품은 점묘화법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이를 통해 마티스가 달성하고자 했던 목적은 이전의 화가들과 달랐다. 마티스의 말에 따르면, 회화는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차원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회화란 화가의 내면적인 비전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라고 생각했고, 더 이상 객관적인 현실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는 외부의 세계가 아닌 개인적인 감정, 정확히 말해 ‘내면적인 비전’에서부터 출발했다. 바야흐로 표현주의가 인상주의를 대체하기 시작한 것이다. 표현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는 마티스는 훗날 야수파로 잘 알려진 젊은 화가들의 모임을 조직하기도 했다.
<호사,평온,그리고 관능>은 야수파의 탄생과 관련하여 특징적인 표현 양식을 보여준다. 장식적이고 조화로운 곡선을 작품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실제 자연과는 달리 타는듯한 붉은 색채는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감정을 고양시키는 도구로써 사용되었다.
마티스의 초기 작품에서부터 선은 장식적이고 조화로우며 리드미컬한 곡선의 형태를 띠었고, 작품이 전하고자 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에 이르러 많은 화가들이 이와 같은 테마를 각기 다른 표현을 통해 작품화한 바 있다. 마티스 역시 이를 자신만의 독창적인 표현주의 양식으로, 여러 차례 다루었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 <호사>와 등이 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